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머신러닝
- 딕셔너리
- 다중회귀분석
- 계속기업
- 부채
- 파이썬
- 기계분석
- dictionary
- 코딩배우기
- 난수배열
- jupyternotebook
- INDEX함수
- Python
- 재무제표
- 빅데이터
- 리스트함수
- index
- 인덱스
- 파이썬기초
- 파이썬독학
- pop함수
- value
- 자본
- IFRS
- Key
- 다항식회귀분석
- 자산
- 리스트
- 파이썬강의
- 코딩
- Today
- Total
코인시던스의 기록
[#10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생성하는 법, 튜플 사용하는 이유?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4가지 컬렉션 중 튜플(Tupl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은 쓰임새가 명확하고 한정적이기 때문에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1. 튜플(Tuple)의 생성
- 리스트는 대괄호 [] 를 이용해서 생성했다면, 튜플은 일반 괄호 () 를 이용해서 생성합니다.
2. 튜플(Tuple) 의 특징
- 튜플은 리스트와 다르게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바꿀 수 없습니다. (immtable)
- 아래의 예시와 같이 리스트에서는 0 번째 멤버를 100 으로 바꾸고 출력하면 리스트가 바뀐 것을 볼 수 있죠.
- 하지만 튜플은 immutable 로 변경이 안되기 때문에 type error 가 뜹니다. item assignment 가 안된다고 나와있죠.
3. 튜플(Tuple) 사용 이유
그런데 튜플을 왜 사용할까요? 사실 튜플은 컬렉션으로써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크기가 적고 변하지 않는 값을 트랙킹 해야하는 것이 아니면 거의 쓰지 않습니다. 튜플은 주로 문법적으로 편의성을 줄 때 사용합니다.
- 튜플은 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튜플을 가장 많이 쓰는 경우로, 아래와 같이 하나의 라인에 변수 4 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다른 언어의 경우 함수는 값을 하나만 반환 시킬 수 있지만 파이썬은 multiple return 이 가능합니다. 그 값이 실제로 multiple 이 아니라 단순히 tuple 을 반환시키는건데 나중에 함수를 배우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유명한 튜플 문제가 있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연습문제] a 와 b 값을 교환하시오. a = 5, b = 4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시는 분들은 아래와 같이 많이 풉니다. 실행하면 a 의 값만 바뀌어 있는데요. a = b 에서 b 를 a 에 대입하기 때문에 a 는 4 로 업데이트가 되고, b = a 에서 이미 4 로 바뀐 a 가 b 로 대입되기 때문에 두 값이 모두 4 로 나타납니다.
그러면 b 의 값을 a 로 업데이트 하기 전에 b 를 어디엔가 임시로 담아 놓으면 되겠죠? 이 임시 변수를 temp 이라고 해볼께요. temp = a 로 a 를 임시로 temp 에 업데이트 해놨기 때문에 a 가 날아가도 문제가 없겠죠. 따라서 아래와 같은 로직으로 a, b 값이 바뀐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이썬은 튜플 언패킹을 이용해서 위 문제를 한줄로 풀 수 있습니다.
튜플은 멀티플한 값을 반환시킬 때 사용하는데 나중에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