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ndex
- 자산
- 자본
- 다중회귀분석
- 딕셔너리
- 머신러닝
- 계속기업
- jupyternotebook
- 코딩배우기
- Key
- 기계분석
- 난수배열
- Python
- 부채
- 파이썬독학
- 인덱스
- pop함수
- 파이썬기초
- 파이썬강의
- 리스트
- 코딩
- value
- IFRS
- 빅데이터
- 리스트함수
- 파이썬
- INDEX함수
- 다항식회귀분석
- dictionary
- 재무제표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14)
코인시던스의 기록

1. Numpy 란? Numerical Python 으로 Python 에서 '대규모 다차원 배열'을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 참고로 왜 '대규모 다차원 배열'을 사용할까요? 데이터의 대부분은 숫자 배열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흑백 이미지는 픽셀의 밝기와 명암을 2차원 배열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운드 데이터는 시간 대비 음악을 나타내는 1차원 배열로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를 배열로 보고, 배열을 효과적으로 저장, 가공하는 것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가장 근본적인 절차입니다. 2. Numpy 사용 이유 List 대신 Numpy 를 사용하는 이유는 비교적 빠른 연산을 지원하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3. List 로 부터 Numpy 배열을 만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4 가지 컬렉션 중 세트(Set)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학에서의 집합과 동일한 개념으로 중복이 안되고 순서가 없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다른 컬렉션에 비해 쓰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1. 세트(Set) 생성, 초기화 - 세트(Set) 는 딕셔너리(dict) 의 키(key) 만 활용하는 데이터 구조로, 딕셔너리(dict) 와 마찬가지로 중괄호 {} 를 이용해 생성합니다. ※ 비어있는 세트 생성 하지만 빈 세트(Set) 를 생성할 때는 set() 함수를 이용합니다. a = {} 로 하면 비어있는 딕셔너리가 생성되기 때문이죠. 2. 세트(Set) 특징 (1) 중복으로 있는 항목을 모두 제거하고 출력 - a 라는 세트에 1 이 3 번, 3 이 2 번 있는데 모두 제거되고 출력되..

오늘은 딕셔너리(dictionary)의 key 와 value 에 접근하는 방법과 딕셔너리와 리스트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딕셔너리 내 key 존재 확인 in 키워드 : 딕셔너리 내에 key 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로 dictionary 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딕셔너리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연산의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2.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점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리스트(List) 와 딕셔너리(Dict) 차이점 List 와 dic 는 기능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성능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시면 a 라는 딕셔너리(dictionary) 와 리스트(List) 가 있습니다. 둘 다 True 이죠. b 라는 key 가 a 라는..

오늘은 dictionary 라는 컬렉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파이썬에는 List, Tuple, Dictionary, Set 이렇게 4 가지 컬렉션 타입이 있는데 단언컨데 dictionary 는 파이썬에서 코딩할 때 가장 자주 쓰는 컬렉션 중 하나 입니다. 리스트는 index 를 모르면 원소 개수가 많은 리스트에서 원소를 찾는데 굉장히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index 를 알고 있다면 리스트의 길이가 아무리 길더라도 그 index 에 바로 jump 해서 접근할 수 있죠. dictionary 도 마찬가지로 value 를 알고 있다면 원소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거의 0 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합니다. 1. Dictionary 생성 및 특징 - 중괄호 {} 를 사용해서 생성합니다. (참고로 리스트는 대괄호..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4가지 컬렉션 중 튜플(Tupl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은 쓰임새가 명확하고 한정적이기 때문에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1. 튜플(Tuple)의 생성 - 리스트는 대괄호 [] 를 이용해서 생성했다면, 튜플은 일반 괄호 () 를 이용해서 생성합니다. 2. 튜플(Tuple) 의 특징 - 튜플은 리스트와 다르게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바꿀 수 없습니다. (immtable) - 아래의 예시와 같이 리스트에서는 0 번째 멤버를 100 으로 바꾸고 출력하면 리스트가 바뀐 것을 볼 수 있죠. - 하지만 튜플은 immutable 로 변경이 안되기 때문에 type error 가 뜹니다. item assignment 가 안된다고 나와있죠. 3. 튜플(Tuple) 사용 이유 그런데 튜플을..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리스트에서 인덱스 확인, 리스트에서 값이 존재하는 지 확인, 리스트에서 항목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 항목의 Index 확인 - index 함수, index() :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항목의 인덱스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 리스트에 없는 항목을 찾고자 한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2) 리스트 항목 확인 - in 키워드 : 많이 쓰는 키워드 중 하나로 리스트 내에 해당 값(항목)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ue 혹은 False 로 반환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시면 c = b in a : a 라는 컬렉션 (여기선 List) 에 b 가 있느냐 를 True / False 로 반환해주죠? 매우 파이썬스러운 코드 입니다. (3) List 정..

1. 리스트 슬라이싱 (List Slicing) - 문자열의 Slicing 과 동일하게 리스트의 일부분을 추출해 오는 것입니다. - 리스트(List) 타입의 슬라이싱(Slicing) 결과는 리스트(List) 타입으로 나타나는데요 - : 앞뒤로 시작 인덱스(Index)와 끝 인덱스(Index)를 적어주면 됩니다. 그 사이의 리스트를 가지고 오며, 마지막 인덱스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더 이해가 쉬우실거에요. (Index 의 개념은 [#5 파이썬 기초] 를 참고해주세요.)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에도 멤버함수가 굉장히 많은데 많이 사용하는 것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 멤버 함수란 생성된 리스트 객체에 동작하는 함수로, 향후 클래스의 개념과 함께 하겠습니다. 2. 리스트 추가 / 삭제 /..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 데이터 타입 중 문자열 타입(String Type) 과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인덱스(Index)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문자열 타입 (String Type) - 여러 개의 문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작은따옴표) 혹은 "(큰따옴표) 사이에 문자를 넣어서 생성합니다. - Python 에서 문자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 문자열 안에 ' 나 " 가 있는 경우 반대의 기호로 문자열을 생성하면 됩니다. 문자열 내에 ' 를 쓰고 싶은데 ' 로 문자열을 표현하면 뒷부분이 문자열로 인식이 안되기 때문이죠. " 도 마찬가지 입니다. - 문자열을 여러줄에 걸쳐 적고 싶을 때 즉, 엔터가 들어간 문자열이 쓰고 싶을 때 ''' 또는 """ 세 ..

1. Type (1) Type 함수 변수 또는 값의 타입(Type)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하며, type() 안에 변수 또는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2) Type 종류 파이썬에는 4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① 정수(int) ② 실수(float) ③ 문자열(str) ④ 불리언(boolean) - 정수, 실수 타입은 수학에서의 정수, 실수와 같으며, 문자열 타입에 관해서는 #4, #5 파이썬 기초 강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 불리언은 값을 True/False 두 가지만 가지는 타입을 말합니다. 2. 숫자형 타입의 연산 및 대입 (1) 기본 연산 정수, 실수형 타입을 숫자형 타입(numbers) 라고도 하는데 수학과 동일하게 기본 연산이 가능합니다. 가감승제 연산자(+,-,*,/) 를 ..

1. 변수 (Variable) (1) 변수의 정의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 저장공간(memory) 에 값을 생성하고 이 저장공간의 이름(변수 이름) 을 지정하겠다. 라는 뜻입니다. (2) 대입 연산자 (=) 프로그래밍에서 = 는 우리가 수학에서 알고 있는 '같다'가 아니라 변수에 값을 대입하는 대입 연산자입니다. = 를 기준으로 왼쪽은 변수 이름, 오른쪽은 데이터 (다른 변수 or 값) 가 위치합니다. (3) 변수 이름 규칙(variable naming) ① 영문 대/소문자, _(underscope), 숫자로 구성 가능합니다. 하지만 위는 예시일 뿐 실제로는 저렇게 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Code 를 혼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함께 볼 수 있기 때문에 (협업할 때) 보통은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