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던스의 기록

[#4 파이썬 기초] Type 함수, Type 종류, None, 숫자형타입의 연산, 식 평가와 대입 본문

파이썬

[#4 파이썬 기초] Type 함수, Type 종류, None, 숫자형타입의 연산, 식 평가와 대입

코인시던스 2020. 9. 26. 11:42

 

   1. Type 

   (1) Type 함수

변수 또는 값의 타입(Type)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하며, type() 안에 변수 또는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2) Type 종류

파이썬에는 4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① 정수(int)  ② 실수(float)  ③ 문자열(str)  ④ 불리언(boolean)

차례대로 정수, 실수, 문자열, 불리언 Type 의 예시

- 정수, 실수 타입은 수학에서의 정수, 실수와 같으며, 문자열 타입에 관해서는 #4, #5 파이썬 기초 강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니 참조해 주세요. 불리언은 값을 True/False 두 가지만 가지는 타입을 말합니다.

 

   2. 숫자형 타입의 연산 및 대입

   (1) 기본 연산 

정수, 실수형 타입을 숫자형 타입(numbers) 라고도 하는데 수학과 동일하게 기본 연산이 가능합니다. 가감승제 연산자(+,-,*,/) 를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코딩에서 곱하기는 x 가 아니라 * 입니다.

가감승계 (+,-,*,/) 연산자를 이용한 기본 연산

   (2) 연산자 우선 순위 (Operator Priorities)

- 기본적인 수학의 연산과 동일합니다. 먼저 연산하고자 하는 곳에 괄호()를 사용하면 됩니다.

수학에서와 동일하게 () 값이 먼저 연산됩니다.

   (3) 식 평가(Expression Evaluation)

[퀴즈] 아래 예시에서 print 될 값들에 대해 예측해볼까요? 특히, 세번째 print 값에 오답이 많으니 유의해주세요.

퀴즈

[정답] 은 9,6,9 입니다. 마지막 print(a) 에서 6 이라고 많이 헷갈려 하는데 변수의 값은 대입이 발생하기 전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중간에 a-3 을 실행한 것이지 a 라는 변수에 다시 값을 대입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정답

아래의 예시도 마찬가지로 a-3 을 실행한 것이지 a 라는 변수에 다시 값을 대입한 것은 아닙니다.

변수의 값은 새로운 대입이 발생하기 전 절대 바뀌지 않는다.

  (4) 식 대입 (Expression Assignment)

- 변수를 업데이트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① 첫번째 방법입니다. a 를 업데이트 할 때마다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는 것이 비효율적입니다.

첫번째 방법, 하지만 a 를 업데이트 할 때마다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두번째 방법. 계산한 오른쪽 값(a-3) 을 다시 a 에 대입하겠다. 라는 뜻으로 a 가 새로 업데이트 되죠?

'계산한 오른쪽 값(a-3)을 다시 a 에 대입하겠다.'라는 뜻. 항상 오른쪽 식을 먼저 계산한 후 대입한다.

  세번째 방법. 두번째 방법과 결과는 동일한데 코딩은 더 줄일 수 있습니다. a -=3 는 a = a-3 의 줄임말로 +,*, ** 에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 / *= / **= )

a -= 3 은 a = a-3 의 줄임말로, =,-,*,/  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5) 비교 연산자 (==, comparison operator)

- 프로그래밍에서 비교를 할 경우, = 가 아닌 == 를 사용합니다. = 은 대입 연산자로 #3 파이썬 기초 강의를 참조해주세요.

- 정수형과 실수형은 < : 작다, > : 크다, == : 같다, != : 같지 않다의 연산자를 사용하여 크기 비교를 합니다.

-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True/False 값만 가지기 때문에 Boolean Type 입니다.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boolean 타입으로 값을 True/False 두가지만 가진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을 먼저 해석한다. a > b 라는 결과를 해석해서 c 라는 변수에 대입한다. 따라서 c = True 라는 구문이 수행되었다.

   3. None

- 일반적으로 초기값을 갖지 않는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 변수를 선언할 때 그냥 변수 이름만 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뜨기 때문에 처음에 변수를 생성하고 싶은데 어떤 값으로 생성해야할 지 모를 때 (빈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하죠.

- 다른 언어에서 NULL, nIL 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변수의 값을 선언하지 않은 채 Run 을 돌리면 에러가 뜬다.
변수에 None 을 넣어줫더니 에러가 뜨지 않고 빈 변수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