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던스의 기록

[#9 파이썬 기초] 리스트(List) 인덱스 확인하기, 리스트에서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리스트 항목 정렬 하기 본문

파이썬

[#9 파이썬 기초] 리스트(List) 인덱스 확인하기, 리스트에서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리스트 항목 정렬 하기

코인시던스 2020. 10. 11. 19:23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리스트에서 인덱스 확인, 리스트에서 값이 존재하는 지 확인, 리스트에서 항목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 항목의 Index 확인

- index 함수, index() : 리스트에서 찾고자 하는 항목의 인덱스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 리스트에 없는 항목을 찾고자 한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2) 리스트 항목 확인

- in 키워드 : 많이 쓰는 키워드 중 하나로 리스트 내에 해당 값(항목)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ue 혹은 False 로 반환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시면 c = b in a : a 라는 컬렉션 (여기선 List) 에 b 가 있느냐 를 True / False 로 반환해주죠? 매우 파이썬스러운 코드 입니다.

  (3) List 정렬 (Sorting)

Random 하게 있는 리스트 항목을 정렬해야할 때 사용합니다. 정렬하는 방법은 sort 함수 (멤버함수) 사용, sorted 함수 (내장함수) 사용 이렇게 2 가지가 있습니다.

 

sort() 함수 : 리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함수 중 하나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리스트를 내부적으로 정렬합니다. 즉 리스트 자체가 정렬된 리스트로 바뀌며,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sort 함수를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 shift + tab 으로 함수 설명을 보면 기본적으로 reverse = False 라 설정되어 있는데, False 대신 True 로 바꿔주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됩니다.

sort 함수는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reverse=False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reverse = True 로 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됩니다.

 

② sorted(), sorted 함수 : 정렬된 리스트를 새로운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즉, 기존의 리스트는 바뀌지 않습니다.

sorted 함수를 이용해서 a 를 parameter 로 넘기면 새로운 리스트 b 에 정렬된 리스트가 담깁니다. 즉 a 자체는 변하지 않죠.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