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던스의 기록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본문

재무회계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코인시던스 2020. 9. 22. 11:17

   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자산 자본 및 부채
① 유형자산 ② 투자부동산 ③ 무형자산 ④ 금융자산 ⑤ 지분법투자자산 ⑥ 생물자산 ⑦ 재고자산 ⑧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 ⑨ 현금 및 현금성 자산 ⑩ 당기법인세 관련 자산 ⑪ 이연법인세자산 ⑫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매각예정자산집단에 포함된 자산 ① 지배기업소유주 귀속 자본 ② (자본에 표시된) 비지배지분③ 중당부채 ④ 금융부채 ⑤ 매입채무 및 기타 채무 ⑥ 당기법인세 관련 부채 ⑦ 이연넙인세부채 ⑧ 매각예정자산집단에 포함된 부채

 

   2) 재무상태표 작성 방법

① 형식이나 계정과목순서에 대해서는 강제규정을 두지 아니함

② 일반적인 경우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재무상태표에 구분하여 표시

단, 유동성 순서에 따른 표시방법이 신뢰성 있고 더욱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대문에 유동성 순서에 따른 표시 방법을 적용할 경우, 모든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의 순서에 따라 표시

 

   3)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

유동자산 ① 기업이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비될 의도가 있다.
②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③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④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이 아니다. 
유동부채 ① 정상영업주기 내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②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③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결제하기로 되어 있다.
④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4) 재무상태표 양식

 

   5) 포괄손익계산서의 의의

일정기간동안 발생한 모든 수익과 비용을 보고하는 재무제표

- 포괄손익은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구성

-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수익과 비용항목(재분류조정 포함)을 포함

 

   6) 손익계산서 최소표시 항목

① 수익

② 금융원가

③ 지분법 적용대상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당기순손익에 대한 지분

④ 법인세비용

⑤ 중단영업의 합계를 표시하는 단일금액

 

   7) 포괄손익계산서 작성

- 단일 포괄손익계산서

- 별개의 손익계산서(당기순손익의 구성요소를 배열하는 보고서)와 포괄손익계산서(당기순손익에서 시작하여 시타포괄손익의 구성요소를 배열하는 보고서)

* 성격별(by nature) 공시

* 기능별(by function) 공시

(*) 기능별분류에 따라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경우, 주요비용의 성격(nature) 에 대한 정보를 주석으로 추가 공시 (감가상각비, 기타 상각비, 종업원급여 포함)

Comments